Tip을 주는 고니

아이디어가 넘처서 이런저런 소재로 영상을 만들고싶어서 안달이났던 초반과 다르게

소재가 점점 떨어지고 아이디어의 고갈아닌 고갈이 오고나면 한번쯤 생각하게 되죠?

 

'내가 지금 지속 가능한 운영을 하고 있는것일까?'

 

지금 당장은 뷰가 나오더라도 이대로 1년 또는 3년 길게는 10년을 할 수 있을까?

 

 

그렇죠.

 

10년은 좀 오바고 일단 1~3년을 목표로 한 당신!

오늘은 성장의 가능성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말 간략하게요.

 

하지만 오늘 이 분석지표 해석이..

유튜브의 기초를 거의 다 거론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길어질것같네요; 맞춤법 띄어쓰기 포기하겠습니다.ㅎ..

 

 

올라간지 5개월이 넘은 영상중 100만뷰가 넘은 영상에서 얻은 데이터입니다

 

알기쉽게 재해석해서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노출수

노출수는 유튜브 시스템이 유튜브 내에서 여기저기 뿌려준 횟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추천동영상, 메인화면등 아무튼 내 채널페이지가 아닌곳에 노출시켜준 빈도수입니다.

 

2.노출 클릭률

노출 클릭률은 그렇게 시스템이 뿌려준 노출에서 클릭된 비율입니다. 100번 뿌려서 6번 클릭 되었다면 6%입니다.

 

3.추천동영상

추천동영상은 우리가 늘 보는 그 추천동영상탭이 맞습니다. 넘어가겠습니다.

 

자 이정도면 중요한건 간단히 설명했구요... 지표 해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숩니다~

 

 

일단 올라간지 몇일 안된 영상 + 초반뷰와 후반뷰가 극심히 다른경우에는

지표의 왜곡이 있을 수 있으니 데이터를 충분히 모은 후 해석하시기 바랍니다~

 

예를들어

올라간 첫날에 20만뷰, 다음날 10만뷰, 그후 3만, 1만, 5천 하다가 매일 3천 5천 3천 5천 3천인경우에는

올라간 첫날과 두번째날에 지표에 영향을 미친 뷰의 90%가 몰려있으므로

당연히 해석에 의미가 덜합니다.(없진 않습니다)

 

 

 

 

 

 

 

저 위로 스크롤 올리지 마시라고 다시 붙여넣은 유튜브 분석 지표

 

어느정도 뷰가 쌓인 영상을 열어봤는데?

 

1. 노출수가 적어요!

 

자신의 채널 수준에 비해 노출수가 낮은경우에는.. 유튜브 로봇이 일을 안할리가 없으므로

영상자체가 가지고 있는 이슈성의 결함이나, 그것도 아닐경우 키워드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슈성의 결함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예를들어 PPAP가 떳을때 PPAP관련영상을 올렸다면

그 땐 노출수가 많았겠지만 지금은 적겠죠.

PPAP라는 소재가 유튜브 내에서 창출되고 있는 총뷰가 낮으니까요.

 

당연히 파이가 큰 시장에서 높은 뷰가 나오는겁니다.

유행이 지난 PPAP를 다시 유행시키기는 힘들잖아요?

그러므로 이경우는 손을 쓸 수가 없습니다. 유행지난 영상입니다.

유행이 지나도 이 영상을 볼 이유가 있을 만큼 영상을 재미있거나 유익하거나 흥미롭게 만들어주세요.

이것은 유튜브가 지닌 최대 장점을 살리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다음에 다른 글로 설명하겠습니다.

 

그럼 다음가능성인 키워드 문제입니다.

이것의 해결은 간단히 검색엔진 최적화를 어느정도 숙지하시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관련해서 풀자면 너무 길어지니 간단히 압축하자면

[유튜브 검색엔진이 좋아할만한 제목과 내용을 적으세요.]

다시말하자면 자신이 엮여서 추천영상에 붙었으면 좋겠다 하는 영상들의 키워드를 철저히 연구해서

내 영상의 제목과 내용에 관련 키워드를 넣어서 문장을 작성하는겁니다. 쉽쥬?

 

키워드 연구에 시간을 많이 쏟으세요.

 

 

 

2. 노출수는 만족할만큼 나왔는데 노출클릭률이 너무 낮아요!

 

이 경우는.. 생각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노출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추천동영상에서의 노출을 말합니다.

그런데 거기서 유저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는것입니다.

 

추천영상까지는 제목과 내용, 태그의 노력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서 선택받는 노력은 어디에 있을까요?

바로 미리보기입니다.

미리보기를 끝장나게 잘 만드세요.

누가봐도 흥미롭게, 또는 유튜브가 싫어하지 않는 선에서 자극적으로요.(나쁜 자극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미리보기에 대한 연구도 다른글에서 기회가 되면 써드리겠습니다. 작정하고 풀자면 A4 5장을 써도 모자릅니다.

 

 

 

 

 

 

3.트래픽 소스 유형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글이 너무 길어질것같으니 최종적으로 나와야 할 비율을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운영하면서 꾸준히 본 바로는

추천동영상의 비율이 가장 높아야합니다.

 

총100중

추천동영상 65~70 에 나머지 35~30 입니다. 그중에서 검색이나 채널페이지가 2~3위면 좋습니다.

 

추천동영상은 구독자가 아닌 사람들도 많이 봅니다. 그만큼 영상의 미리보기와 키워드가 잘 되어있다는 이야기구요

거기에 보통 그 영상을 보고 난 후에 추천되는 영상도 그 채널의 영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영상이 재미있다면 추천영상에서 그 채널것만 찾아보는 경향이 또 생깁니다.

 

 

위 사진은 인터넷에서 퍼온 사진입니다.

추천영상이 상당히 낮습니다. 최근28일의 노출클릭률이 큰 변동이 없는걸 봐서는 올린지 좀 된 영상입니다.

그런대도 불구하고 추천동영상이 5.8%라면... 추천을 해줘도 클릭이 잘 안된다는 이야기겠죠?

미리보기(썸네일)의 문제입니다.

지표로만 보면 이 채널은.. 팬만 주로 찾고 신규유입이 없어서 성장이 정체되었거나 느릴 확률이 큽니다.

 

 

성장의 측면에서 보자면 추천동영상은 신규유입의 창구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신규유입만 있고 기존 유입이 뷰를 창출하지 못한다면? 심각한 문제입니다.

한두번 보고 다른 영상은 볼 이유를 못느낀다는것이니까요.

 

 

성장을 하는 채널이라면

기존뷰보다 신규뷰가 늘어야 하는것은 확실히 맞습니다.

 

들어오는 물보다 빠지는 물이 많으면 성장이 안되는게 당연하죠.

 

당연히 영상을 멀쩡히 잘 만들었다는 가정하에선 저 위의 비율

추천동영상 65~70 에 나머지 35~30 이 가장 좋은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쓰고 줄여야겠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고럼 다음글에서 만나요~

 

아, 참고로 여기에 쓸 글들은

영상이 시청자에게 적합하고 흥미롭고 재미있게 만들어졌다는 당연한 기본전제하에 운영법을 알려드리는거에요~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