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을 주는 고니

 

흠; 골 때리는 기사가 나왔네요

 

한 먹방 유튜버가 하루에 4700만 원을 번다는 기사인데요...

 

한 사이트의 유튜브 수입 계산기를 이용한 결과라... 흠...

 

 

n.news.naver.com/entertain/article/241/0003091825

 

하루 4700만원, 연간 170억원 버는 유튜버 제인, 어마무시한 수익 비결은?

[일간스포츠 최주원] 한 먹방 유튜버의 수익 추정액이 연 170억가량인 것으로 알려져 뜨거운 화제를 모으고 있따. 8일 온라인 커뮤니티 '더쿠'에는 '연간 수익 추정액 170억 뜨는 유튜버'라는 제목

n.news.naver.com

 

 

 

저도 잘 아는 채널입니다. 그런데 일수 4700은 좀 오바죠.

아니 너무 오바죠 ㄹㅇ루 진짜 너무했네.

 

 

자 저도 저 계산기 한번 돌려볼까요?

 

 

 

어흑 ㅠㅠ 꿈의 일 수입이 나왔습니다.

 

예. 당연히 말도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운영 중인 채널이 요즘 운이 좋아서 최근 7일 평균 뷰는 일당 300 만조 회수가 맞습니다.

 

그런데 일당 4500만 원이 들어온다니 말이 됩니까 ㅡㅡ;

저놈의 통계 사이트 정말 제발 좀 고쳤으면 좋겠네요. 항상 주변에서 저거보고 이야기해 오는데 골 아픕니다.

 

일단 조회 수당 광고단가가 5가 넘어가려면.. 성수기의 모바일 게임이 아닌 이상 좀 힘듭니다.

그런데 300만 뷰에 4500만 원이면 단가가 몇입니까;;

 

 

15..?

미쳤습니까 휴먼?? 아니 광고주가 돈 복사 버그라도 씁니까?

 

모바일 성수기 단가 5. 그것도 1백만~2백만 조회수 이하에서나 가능 한 이야기입니다.

일별 조회수가 수백만이 되면 단가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단가가 낮은 해외 뷰가 섞여서 그렇다고 하기에는 순수 국내 뷰 시즌에도

통계 속에 상기한 해석이 가능한 숫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자 그럼 오늘의 주제!

 

간단하게 유튜버 수입 계산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런 사이트에서 채널 수익 알아보는 법 말고

훨씬 정확한 유튜브 채널 수입 계산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필요한 기본 데이터는 구독자 수, 일별&월별 조회수, 조회 날짜입니다.

 

구독자 수에 따른 단가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별 월별 조회수가 당연히 가장 중요하고요.

조회 날짜는 해당 기간이 성수기냐 비수기냐의 차이입니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로 시청연령과 국가가 있습니다.

 

 

그럼 계산은 어떻게 하느냐?

놀라울 정도로 쉽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그냥 조회수 x 1.5원 하시면 됩니다.

성수기라면 0.5~1원까지 높여주세요.

모바일 게이머라면 1~1.5원 더 높여주세요.

 

그럼 결국 무슨 이야기 인가?

 

뷰당 1.5원이라고 생각하고 비수기엔 그것보다 좀 덜 벌고 성수기라면 두배 번다고 생각하고 1년 평균 내시면 됩니다.

 

쉽죠?

 

 

여기서 추가 고려사항은

해당 채널의 주 시청연령과 국가입니다.

 

위의 계산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채널일 경우입니다.

 

만약 연령대가 낮다면 단가는 내려갈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가 인구수가 많아서 뷰는 잘 나오지만 경제규모가 작은 동남아 국가라면 단가는 대폭 내려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제대국 영어권으로 가면 단가가 올라갑니다.

 

 

그리고 마지막 고려사항인 채널의 규모입니다.

수백만 구독자를 가지고 수천만 뷰를 뽑는 채널의 경우

단가가 1 이하인 경우가 많습니다.

글로벌 뷰가 나오지 않는 이상 [국내에서] 노래하는 연예인이 아닌 [개인이] 1억 뷰를 넘기기가 힘듭니다.

보통 월 뷰로 1억 뷰를 넘겼다면 해외 픽을 받아서 글로벌 뷰가 나오고 있을 텐데요.

이런 채널들은 영어를 사용하거나 언어의 장벽이 없는 채널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언어의 장벽이 없을 경우 몰입 측면에서 손해를 보기 때문에 시청 지속시간이 낮은 경우가 많고

그렇게 되면 광고 단가 또한 떨어집니다.

 

그런 이유가 아니더라도 아까 위에서 상기한 것처럼 일일 수백만 뷰가 나오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광고단가가 하락합니다.

 

자 그럼

 

기사에 나온 해당 채널은 제가 볼 때 얼마를 벌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냐면요...

 

흠..

 

시장조사 좀 해본 유튜버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큰, 업계 레전드 채널...

월뷰는 지난 2년간 평균 1억 6천에서 2억 뷰 사이입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언어의 장벽이 없는 채널이고요. 시청 연령대가 낮다고 하기도 애매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ASMR 특성상 자면서 듣는 사람이 많고, 그런 이유로 영상 종료 후 광고를 넣기가 힘들기 때문에

단가가 엄청 높지는 않을 겁니다.

거기에 월 5천만 뷰가 넘는다면 슬슬 단가 하락을 경험하셨을 것이고

1억을 넘어 2억에 다다르셨으니... 뭔가 쓰다 보니 진품명품 하는 것 같네요.

 

월수입은 적을 때는 1억 4천에서 많으면 2억 6천 사이로 보고 있습니다. 결국 더해서 나누면 2억이네요.

 

 

 

 

자 그럼! 대형채널의 경우 뷰당 1원~1.5원 기억하시고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요~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