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을 주는 고니

안녕하세요, 환율 타짜가 되고 싶은 고니 인사드립니다.

 

지난주, 드디어 바이든 취임식이 있었습니다. 이번 미국 대선은 우편 투표용지부터 트럼프 탄핵 및 미 의회 불법 난입 등 말도 많고 사건도 있었지만, 그래도 지난 20일 취임식을 통해서 공식적으로 바이든 정부 시대가 열렸습니다.

 

우리나라도 내년엔 대선을 하게 될텐데 무탈하게 치렀으면 좋겠네요ㅎ

 

바이든은 선거때부터 코로나 19에 대응하여 2조 달러 부양책에 대해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민주당 소속이다 보니, 공화당에 비해 부양책에 대한 규모 견해가 남 다를 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당선된 후 블루웨이브(민주당 상,하원 장악)가 일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은 실제로 2조 달러 대규모 부양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냐며 한 껏 기대를 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바이든 당선인은 1조 9000달러 슈퍼 부양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 미국 재난지원금 600달러(1인당)에서 약 1500달러(1인당)로 대략 800 ~ 900 달러 상승 부양책인데요 정말 어마어마한 규모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튼 이번 바이든 정부 시대가 열리면서 글로벌 달러화는 어떻게 될것이며, 과연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원달러환율은 어떠한 영향을 받을 것이며,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아수라발발타요!!

 

 

상승 요인

1. 바이든 정부가 출범하면서 새롭게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재닛 옐런 누님은(전 Fed의장) "미국은 경쟁 우위를 위해 달러약세를 추구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환율조작국'이라고 지정한 이력이 있다 보니, 비록 달러약세가 미국 기업 수출 경쟁에 있어서 우위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미 재무부는 중국처럼 인위적으로 환율약세를 만들어서 이점을 챙기지 않음을 표시했습니다.

 

2. 미 재무부는 '50년물 등 장기 미국 국채' 발행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발행된 적이 없는 국채 검토이며, 목적은 글로벌 달러 회수와 달러약세로 약해진 기축통화의 위상을 세우고 싶은 것이 아닐까 예측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국채 발행은 달러강세로 작용할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3. 발표된 슈퍼 부양책이 아직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미국은 조금씩 물가가 상승되고 있으며, 따라서 기준금리 상승이 동반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상승은 긴축 통화정책으로 달러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하락 요인

1. 재무부에서 검토하겠다고 발표한 '50년물 등 장기 미국 국채'는 이미 트럼프 정부 때 검토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실행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검토까지는 순조롭게 진행되겠지만, 실제 발행까지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경기부양 목적을 둔 1조 9000달러의 슈퍼 부양책은 자칫 물가 상승을 가져와 기준금리 상승도 동반하지 않을까 싶지만, 인터뷰에서 Fed의장 파월 형님은 “경기 성장률과 완전고용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제로금리를 유지할 것”라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선제적 금리 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전문가들은 올해 또는 2023년까지는 Fed가 제로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3. 1월 초부터 '10년 물 등 미국 국채' 금리가 급격한 상승세에 있었지만, 국채 입찰에 대한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주부터 금리 상승세가 꺾여 안정세에 들어서 보입니다.

 

정리

그동안 작년 말까지 이어지던 달러약세가 새해 시작부터 변동성이 생기고 있습니다. 마치 바이든 정부 출범에 맞춰 나타나고 있는 이 변동성은 위에 언급한 요인 외에도 백신 부작용, 증감/감소되는 확진자 수, 실제 경기 회복속도 등 여러 요인이 복합 작용을 하고 있어 더욱더 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생각하기로는 바이든 정부는 지금 현재 글로벌 달러약세에 대해서 우호적인 입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회 전반적인 상황을 보시고 특히 백신 접종률 진행 상황과 Fed의 입장 그리고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 주의하면 원달러환율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