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율타짜가 되고 싶은 고니 입니다!
Fed의장 제롬파월의 기자회견에 관한 포스팅 이후, 오랜만에 환율 소제로 글 쓰게 되었네요, 그동안 금리에 관하여 공부하고 자료 찾다 보니, 최근 환율의 동향까지 글쓰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도 앞으로 자주자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자, 그럼 아수라발발타!
6월부터 하락을 띄던 원달러환율이 12월에는 급격한 반등을 하고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 포스팅에서, '앞으로 원달러환율 약세는 코로나 방역이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다'라고 말씀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히도 5인 이상 집합 금지를 시행하면서 연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모임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태가 더욱 악화되지는 않은 것 같네요 그리고 그것이 곧 급격히 반등하던 원달러환율 상승세에서 턴어라운드 계기가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런 단기간에 또! 환율이 하락하게 될 줄은 미처 생각을 못했습니다.
역시 아직은 타짜가 되기 위해선 많이 부족합니다.
바이든이 당선되면서 오랫동안 이어진 미중 갈등이 해소되지 않을까 기대가 되는 와중에, 위안화는 달러 환율에서 2년 만에 최고점을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위안화 강세는 여러 요인이 작용되었겠지만,
1. 최근 중국경제 빠른 회복속도
2. 달러약세
3. EM에 외국자본 대거 투입
이 세 가지 요인이 2년 만에 위안화 최고점을 달성시킨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최근 원달러환율과 비슷한 그래프를 보이듯이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달러약세는 위안화뿐만 아니라 인덱스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6개국 통화와 달러를 비례한 지수 달러인덱스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걸어 두겠습니다)
2020/12/16 - [경제/경제상식] - 원달러 환율을 알고 싶다면 달러인덱스(dollar index)를 알자!
원달러 환율을 알고 싶다면 달러인덱스(dollar index)를 알자!
달러인덱스 안녕하세요, 오늘 컨셉은 환율타짜가 되고 싶은 고니입니다, 아수라발발타! 요새 코로나로 인해 경기 불황과 화폐 유동성이 많아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 주식시장이 굉장히 뜨겁습니
ecosupply.tistory.com
2년 만에 달러당 1000원대로 올랐던 원화값은 적어도 올 상반기까지는 원화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첫번째, 대한민국 경제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어렵게 보았던 조선업은 몇 년 만에 최대 수주를 받았으며, 현대기아차의 수출 판매량은 10% 내외로 이전보다 줄어들긴 했지만 다른 경쟁사에 비해 선방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서비스업 등 회복세가 저조한 분야도 있지만, 최근 항공산업이 백신 운송으로 인해 작년보다는 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미국의 백신 접종..과연?
미국정부가 당초에 잡았던 계획은 2020년 말까지 2000만명에게 백신 접종을 마치는 것이었지만,
실제 접종은 이의 절반에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곧 있을 2 ~3월 일반인 접종 시작은 과연 계획대로 목표달성이 될지 의문입니다.
세번째, Fed의 기본 스탠스 제로금리
연준은 고용과 경기회복이 목표 달성하기 전까지는 적어도 제로금리를 2023년까지 유지하겠다고 입장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올 상반기까지는 달러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 결과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미국 백신 접종이 계획대로 달성이 된다면, 그래서 고용이 완전고용(실업률 3%)으로 이루어지고, 미국 경기가 빠르게 회복된다면, 연준은 지금의 제로금리라는 기본 스탠스를 바꾸거나 유동성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죠.
참고로 백신 위탁생산(CMO)을 할 수 있는 나라는 많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경우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녹십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많은 기업이 존재하기 때문에 백신 수주만 이루어진다면, 기대예상 보다 아시아에서 가장빠른
회복속도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다들 건강하시고 지금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뵈어요!!
01/29) 연속 3일째 상승하는 원달러환율, 달러강세인가 원화약세인가 (0) | 2021.01.29 |
---|---|
01/27) 바이든 정부 출범, 원달러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1.01.28 |
01/18) 지난 한주 동안 원달러환율은 어땠나요? (0) | 2021.01.18 |
01/11) 최근 3일연속 원달러환율 상승의 요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앞으로 전망은? (0) | 2021.01.11 |
(Fed)파월의장의 채권매수는 원달러환율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 인가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