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을 주는 고니

안녕하세요, 환율 고수가 되고 싶은 고니입니다.

 

어제 10일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5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5.0%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망치(4.7%)보다 다소 높은 수준인데요 그런데!!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을까요? 아니, 미 국채금리가 하락을 했습니다 허허.. 다들 아시다시피 최근 몇 개월 동안 미 국채금리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하여 내려올 생각을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불안에 떨었던 시장의 마음을 생각해보면 정말(크크) 아무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출발!

 

미 국채금리(10년물)

출처_Investing.com

눈으로 보고도 믿기지가 않네요 어쩜 저렇게 떨어질 수가 있는지(마음고생 심했다 시장아ㅠㅠ) 우리는 이런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확실한 것은 이전 채권시장 분위기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추측해보도록 하죠

 

첫 번째 - 심리적인 변화?

근래에 미 재무부 장관 옐런 누님의 인터뷰에서 자주 언급하는 주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테이퍼링'과 '기준금리 인상'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물가안정을 위한 필수과정으로 보시면 좋을 듯싶은데요 비록 그 발언 출처가 연준이 아닌 옐런 누님이지만 그동안 같은 정책 방향으로 의견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채권시장 입장에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예측해봅니다.

 

두 번째 -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스스로 판단?

통화정책에 앞서 미리 판단하고 움직이는 것은 시장이라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판단을 가져올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가 충분히 있다면 시장은 언제든지 선점하려고 나설 텐데요 그렇다면 그 판단을 할 수 있었던 자료란 무엇일까요? 사실 저도 모릅니다!(당당) 다만, 기사와 전문가 의견을 취합해보면은 5월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분의 30%가 중고차 가격 급등이기 때문에 차량 반도체 공급난이 해결된다면 계속적인 물가 상승은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1조 9000달러 부양책으로 대폭 늘어난 4월 저축금액이 지난 5월 들어서는 많이 줄어든 만큼 미래의 소비심리도 다소 위축될 것으로 예측합니다.

 

세 번째 - 테이퍼링을 실행한다면 주택저당증권(MBS)부터?

코로나 이후 연준은 매달 800억 달러 미 국채와 400억 달러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연준이 테이퍼링을 실행한다면 최근 미 부동산 매매 가격 상승이 지속적인 이슈인 만큼 이를 반영하여 400억 달러 규모인 주택저당증권 매입을 크게 줄이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 실로 이 기대대로 이루어진다면 미 국채금리 상승에 대한 충격은 예상보다 다소 적을 수도 있습니다.

 

My thought

지금까지 현 상황에 관하여 추측을 해 보았는데요 이에 해당이 되었을지 안되었을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비록 맞다고 하더라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기후변화 등 공급난 해소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채권시장 분위기는 또 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은 필요가 있을 듯한데요, 에이 설마 설마..(저부터 고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제가 믿음을 갖고 듣는 한 전문가가 환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성장성과 금리'라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보다 더 공부해서 좋은 질의 정보를 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해요!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