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을 주는 고니

안녕하세요, 환율 고수가 되고 싶은 고니입니다.

 

취임 첫 타운홀 미팅에서 미국 대통령 바이든 형님은 "다음 크리스마스 때는 지금과 다른 환경일 것이라고 생각한다""약속할 수는 없지만 1년이 지나면 사회적 거리 두기도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을 하면서 그동안 코로나로 지친 미국 시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주었습니다. 비록 일반인 백신 접종 계획이 예정보다(4월) 다소 늦춰지기는 했지만 백신 물량을 더 늘리겠다며 집단면역 형성에 대한 기대감을 주었는데요, 정말 빨리 코로나가 끝나길 바라며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아수라발발타!

미 국채 금리

출처_Investing.com

어제인 17일 이날 1.3%까지 치솟는 급등 현상을 보였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높은 인상으로 1조9000억달러 규모 경기 부양 안으로 인한 국채 발행 확대 가능성 등이 국채금리를 치솟게 한 이유로 꼽히는데요 실제 타운홀 미팅에서 바이든 형님은 "부양안이 예정대로 통과만 된다면 일자리 700만 개를 만들 수 있다""지금은 돈을 써야만 하는 시점이고, 부양 예산은 클수록 좋다"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미 국채 금리 인상은 달러강세 요인으로 자칫 경기 부양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이번처럼 '슈퍼 부양책'을 시행하기 위해서 인상되는 금리 경우는 크게 달러강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달러인덱스

출처_Investing.com

지난 일주일 동안 미 국채 금리 인상과 반대로 하락세를 보였던 달러인덱스는, 어제 금리가 1.3%까지 치솟자 다시 발맞추듯이 달러인덱스 지수도 17일에 점프 상승하였습니다.

 

위안화/달러

출처_Investing.com

새해가 시작하면서 상승하던 미 국채 금리, 그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듯이 위안화는 현재까지도 안정적인 위안화강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잠시 인민은행의 긴축 기조가 보였지만, 현재까지는 우려로 보입니다.

 

원달러환율

출처_Investing.com

달러인덱스 처럼 미 국채 금리 인상임에도 불구하고 하락하던 환율지수가 16일부터는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y thoungt

 

미국 민주당은 만약 합의가 안되면 다수결로 밀어붙이겠다는 듯이 곧 오는 26일까지 해당 경기부양안을 처리하겠다며 협상을 늦추고 있는 공화당을 상대로 압박하고 있습니다. 결국 바이든 형님의 원하는 방향대로 부양안은 큰 무리 없이 처리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로 인해 급상승하고 있는 금리 인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하지만, 목적이 경기부양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임계점을 두어 인상시킬 듯 보이며, 그 기간 동안 Fed의 갑작스러운 긴축 선회는 없을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바이든이 강조한 경기부양이라는 목적과 정말 반대되는 방향이기 때문이죠. 더 예상을 해보자면 연준의 본격적인 움직임은 일반인 백신 접종 이후 경기변화(완전고용, 물가상승 2%)에 맞춰 행동하지 않을까 싶습니다(그전까지는 No! No! 안돼!!) 당분간 원달러환율은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박스권(빨간색) 안에서 횡보할 듯하며, 곧 있을 국내 4차 재난지원금과 미국의 '슈퍼 부양책'이 시행된 이후에는 과연 또 어떻게 움직일지는 지금으로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미국 내 7월로 예정되어 있는 일반인 백신 접종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경기부양 기대심리로 그때는 원달러환율이 크게 상승하지 않을까 싶네요. 부족하지만, 환율 고수가 되기까지 많이 노력할게요! 안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